본문 바로가기
핫이슈

2025년 연차수당 세금 계산법, 헷갈리지 않게 총정리

by 세민아빠SIMON 2025. 7. 10.
반응형

2025년 연차수당 세금 계산법, 헷갈리지 않게 총정리

 

퇴사를 앞두고 연차수당을 정산받는 과정은 예상보다 복잡할 수 있는데요. 저도 퇴사를 경험하면서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했던 적이 많았어요. 처음에는 세금이 얼마나 공제될지, 실수령액이 얼마가 될지 전혀 감을 잡을 수 없었죠. 하지만, 연차수당의 세금 계산법과 그 계산 기준을 미리 이해하고 있었다면 훨씬 더 수월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

이 글에서는 퇴직 전과 미사용 연차를 수당으로 받는 과정에서 꼭 알아야 할 연차수당 계산법과 세금 공제 항목, 그리고 퇴직 시 연차수당 정산 방법을 정리해드릴게요. 연차수당을 처음 받는 분들이나, 퇴사 시 미리 준비하고 싶은 분들에게 도움이 될 수 있도록 상세하게 설명할 예정입니다.


1. 연차수당이란?

연차수당은 미사용 연차를 금전으로 보상받는 제도입니다. 사용하지 못한 유급휴가가 있다면 일정 조건을 충족할 경우 이를 수당으로 받을 수 있어요.
근로기준법상, 사용자는 연차휴가를 부여할 의무가 있고, 80% 이상의 출근율을 유지한 경우 연차가 자동 부여됩니다.




2. 연차수당 발생 기준

근속기간 연차 발생 기준 비고
1년 미만 매월 개근 시 1일 최대 11일
1년 이상 기본 15일 부여 근속 2년마다 1일씩 추가
출근율 80% 미만 연차 미부여 가능 주의 필요


3. 연차수당 계산법

가장 기본적인 공식은 아래와 같습니다.

연차수당 = 1일 통상임금 × 미사용 연차일수

 

  • 통상임금 = 기본급 + 정기적·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

1일 통상임금 계산 예시
- 월급: 280만원
- 월 근로시간: 209시간
- 시급: 280만 ÷ 209 = 약 13,397원
- 일급(8시간 기준): 13,397 × 8 = 약 107,176원
- 미사용 연차 5일 → 연차수당: 107,176 × 5 = 약 535,880원


4. 연차수당 세금 공제 항목

연차수당도 일반 근로소득으로 간주되기 때문에 아래 항목이 공제됩니다.

항목 설명
소득세 원천징수, 6.6% 내외
주민세 소득세의 10% 수준
국민연금 근로자 본인부담 4.5%
건강보험료 약 3.545% (장기요양 포함)
고용보험료 약 0.9%


5. 퇴직 시 연차수당 정산 기준

퇴직 전 사용하지 못한 연차는 사라지지 않고 수당으로 정산됩니다.

근무기간 발생 연차 미사용 시 수당 계산 방식
6개월 6일 하루 급여 × 6
1년 1개월 최대 26일 근속·출근율 기준 적용

# 단, 포괄임금제로 계약되어 있어도 실제 연차 사용이 어려웠다면 별도로 정산 요구 가능합니다.


6.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

✅ 퇴직 전 남은 연차일수 확인 필수
✅ 급여 명세서 또는 인사팀 통해 연차수당 포함 여부 확인
✅ 연차 촉진제도 시행 여부도 중요 (서면 통지 없으면 미사용 연차 수당 지급해야 )
✅ 연차수당도 연말정산 시 근로소득으로 포함됨

 

 


저는 실제 퇴사하면서 연차수당 7일치를 수령했는데요, 처음에는 ‘이거 세금 떼고 얼마나 받지?’ 하며 막막했어요.
하지만 정확히 계산해보니, 예상보다 많은 금액이 공제되어 실수령액이 적어 놀랐던 기억이 있습니다.
이 글이 저처럼 헷갈렸던 분들에게 꼭 도움이 되었으면 좋겠습니다.

 

 

반응형